「나만의 Side Hustle

연봉 1억과 9천만원의 차이는 고작 실수령액 50만원 수준이다.

DayGo 2020. 3. 1. 23:51

종합소득세 산출방법

연봉 1억구간이나 9천만원이나 실수령액 기준 세금차이를 따져보자.

 

1. 연봉 1억원의 경우

종합소득세 2,010만원+지방세 350만원=2,360만원

즉, 세전연소득(연봉) 1억원☞
세후 연소득=1억원-2,360만원=7,640만원

실제 월급으로 따지면 월 636만원 수준이다.

실수령 월급

 

종합소득세(누진공제액 반영)
지방소득세

 

 

2. 연봉 9천만원의 경우

종합소득세 1,660만원+지방세 315만원=1,975만원

즉, 세전연소득(연봉) 9천만원☞
세후 연소득=9천만원-1,975만원=7,025만원

실제 월급으로 따지면 월 585만원 수준이다.

실수령 월급

 

 

종합소득세(누진공제액 반영)
지방소득세

 

 

3. 즉 , 연봉 1억원과 연봉 9천만원의 실수령액 차이는?

■연봉(세전) 차이 1천만원

■연간 실수령액(세후) 기준 차이☞
7,640 만원 - 7,025 만원 = 615만원
즉, 세전 대비(1천만원) 약 60% 수준은 가져가는듯 하다.
■ 즉 월급차이는 615만원÷12= 51.25만원

연봉 1억 5천만원 이하 구간은 모두 종합소득세 35%구간이다.
1천만원이 차이가 나면 거의 실수령액은 반토막나는 것으로 판단하면 될듯하다.

월 50만원을 더 받기 위해 이직을 고려하는 것은 별로 현명한 선택은 아니다.

회사와 업종의 성장가능성과 조직문화와 조직분위기 등을 잘 확인해야 할듯하다.

4. 연봉을 9천에서 1억 1천 수준으로 높힌다면?? 대략 계산상 세전 2천만원 상승이니 실수령액은 60% 수준인 1200만원 수준 높아지는게 아닐까?
월 100만원 정도 올라가면 고정적인 노동가치 상승액으로는 나쁘지는 않은 듯하다!!!

연봉 1억 1천만원의 실수령액 =8,255만원
연봉 9천만원의 실수령액=7,025만원
약, 2천만원 연봉차이가 실수령액 기준으로
1,230만원 차이가 난다.

1230만원÷12= 즉, 월급 환산시 102.5만원 상승효과가 있다.

월소득 100만원 이상을 올리려면 2천만원은 최소 올라야 한다. 물론 오른만큼 업무강도가 얼마나 세지는지, 업종의 성장 가능성, 조직문화, 팀 분위기, 승진 등 전반적인 상황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.

종합소득세(누진공제액포함)
지방세 적용
년 실수령액
월급

 

연봉 1억1천만원-연봉9천만원의 실질 월급 차이